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제주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제주도는 1948년 5월 10일에 실시된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제주도 지역의 선거 결과를 다룬다. 선거구는 북제주군 갑, 북제주군 을, 남제주군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선거구별 당선자는 북제주군 갑 홍순녕 (대한독립촉성국민회), 북제주군 을 양병직 (대한청년단), 남제주군 오용국 (무소속)이다. 당시 제주도는 좌우익 갈등이 심각했고, 제주 4·3 사건의 영향으로 남제주군 선거 결과는 상세 정보가 미비하다.
제주 4·3 사건의 영향으로, 1948년 5월 10일에 치러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남제주군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오용국 후보가 당선되었다는 사실만 알려져 있을 뿐, 다른 후보자들의 득표수나 득표율 등 상세한 선거 결과는 전해지지 않는다. 북제주군 갑, 을 선거구는 1949년 5월 10일에 선거가 실시되었다.
2. 선거구
2. 1. 북제주군 갑 (제1선거구)
북제주군 갑 선거구는 북제주군 제주읍, 조천읍, 구좌읍을 포함한다.
2. 2. 북제주군 을 (제2선거구)
북제주군 을 선거구는 북제주군 애월읍, 한림읍, 추자면을 포함했다.
2. 3. 남제주군 (제3선거구)
남제주군 일원을 포함한다.
3. 개표 결과
3. 1. 북제주군 갑 (제1선거구)
1949년 5월 10일 실시되었다.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소속 홍순녕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홍순녕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9,664 | 27.70 |
함상훈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8,790 | 25.19 |
김인선 | 대한독립청년단 | 7,840 | 22.47 |
김시학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3,752 | 10.75 |
양귀진 | 무소속 | 2,208 | 6.33 |
문대유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2,048 | 5.87 |
고학수 | 무소속 | 579 | 1.65 |
합계 | 34,881 | 100 |
3. 2. 북제주군 을 (제2선거구)
1949년 5월 10일 실시되었다. 대한청년단 소속 양병직 후보가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양병직 | 대한청년단 | 5,776 | 24.22 |
양제박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4,764 | 19.97 |
김도현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4,027 | 16.88 |
홍문중 | 무소속 | 3,942 | 16.53 |
박영희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1,989 | 8.34 |
이응숙 | 무소속 | 1,461 | 6.12 |
김경수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1,232 | 5.16 |
이영복 | 대동청년단 | 656 | 2.75 |
합계 | 23,847 | 100.00 |
3. 3. 남제주군 (제3선거구)
1948년 5월 10일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오용국 후보가 남제주군 선거구에서 당선되었다. 그러나 제주 4·3 사건의 영향으로, 오용국 후보를 제외한 다른 후보자들의 득표수나 득표율 등 자세한 선거 결과는 남아있지 않다.4. 당선자
4. 1. 북제주군 갑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홍순녕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9,664 | 27.70% |
함상훈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8,790 | 25.19% |
김인선 | 대한독립청년단 | 7,840 | 22.47% |
김시학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3,752 | 10.75% |
양귀진 | 무소속 | 2,208 | 6.33% |
문대유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2,048 | 5.87% |
고학수 | 무소속 | 579 | 1.65% |
합계 | 34,881 | 100% |
4. 2. 북제주군 을
1949년 5월 10일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한청년단 양병직 후보가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양병직 | 대한청년단 | 5,776 | 24.22% |
양제박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4,764 | 19.97% |
김도현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4,027 | 16.88% |
홍문중 | 무소속 | 3,942 | 16.53% |
박영희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1,989 | 8.34% |
이응숙 | 무소속 | 1,461 | 6.12% |
김경수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1,232 | 5.16% |
이영복 | 대동청년단 | 656 | 2.75% |
합계 | 23,847 | |
4. 3. 남제주군
제주 4·3 사건의 여파로 인해,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당시 남제주군 선거구에 출마한 후보자의 이름, 정당과 오용국 후보가 당선되었다는 사실만 전해질 뿐 상세한 선거 결과는 알려지지 않았다.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무소속 | 오용국 | 불명 | 불명 |
5. 제주 4.3 사건과의 관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는 제주 4·3 사건 와중에 치러졌다. 특히 남제주군 선거는 4.3 사건의 직접적인 영향으로 정상적인 선거 진행이 어려웠으며, 이로 인해 선거 결과가 제대로 기록되지 못했다. 4.3 사건은 제주도민들의 정치적 의사 표현을 억압하고, 민주주의적 절차를 훼손한 비극적인 사건으로 평가된다.
제주 4·3 사건의 여파로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당시 남제주군 선거구에 출마한 후보자의 이름, 정당과 오용국 후보가 당선되었다는 사실만 전해질 뿐 상세한 선거 결과는 알려지지 않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